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잡다한 지식을 전하는
잡.지.소 입니다.
오늘은 우리나라 아름다운 전통가옥인 한옥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한옥은 고풍스러운 멋과 더불어 과학적으로도 매우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리서 우리 전통가옥에 어떤 과학적인 원리가 들어있는지 한번 살펴보도록하겠습니다.
한옥의 과학적 원리
지리적 인 부분
한옥은 우리나라의 지형적 특성에 맞추어 설계가 되어있습니다. 우리나라는 특징적으로 사계절을 띄고 있습니다.
이러한 여건속에서 우리 조상들은 여름에는 시원하게 그리고 겨울에는 따뜻하게 지내기 위해서 한옥을 지을때 구조적인 부분에 대해 지형학적으로 설계된것을 볼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한옥의 지붕을 보면 45도로 경사가 있습니다. 이는 태양으로 부터 나오는 복사열을 조절하여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하게 만드는 역활을 할 수 있을것입니다.
목조 구조의 발달과 기술력
한옥은 목조로 만들어진 건축물입니다. 그렇기에 주변에서 흔히 보이는 목재를 모두 사용한것이 아닌 목재의 종ㅇ류나 이음새의 연결, 그리고 목재의 하중이나 건축적인 특성에 맞추어 설계된것을 볼 수 있습니다.
태양열을 고려한 설계
한옥은 태양으로 부터 나오는 열을 최대한 받으면서도 여름철에는 어느정도 흘림을 고려하며 설계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부분에 대해서 환기를 신경쓰며 목재건축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여름에는 습기가 차지 않고 바람이 자연스럽게 통풍되어 목재의 건실함을 더욱 두드러지게 할수 있습니다
풍향을 고려한 설계
한옥은 풍향에 맞추어 지형학적으로 건설되었으며 바람의 흐름이나 강도에 따라 조절을 하고 공기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설계되었습니다. 그렇기에 창문을 남향으로 배치하여 채광이 잘들어 오게 하고 크기와 모양에 신경써 통풍이 잘되게 설계되었습니다. 또한 창문과 마루의 이름새는 문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설계하여였으며 벽에는 환기구를 설치하여 목재에 치명적일 수 있는 습기를 제거하였습니다. 이는 공기 순환을 유지하기 위한 공기 역학과 관련이 있는 것을 볼수 있습니다.
자연친화적 설계
한옥은 우리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목재나, 돌, 흙, 짚 등을 활용하여 건설이 되었으며 이러한 자연친화적 설계는 지열을 줄이고 열의 흡수가 좋아 겨울철에 좀더 많은 열을 보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것은 지구과학과 관련이 있을 수 있겠습니다.
지붕구조
우리나라는 건기와 우기가 따로 존재하지 않지만 여름철에는 장마가 내려 많은 비 피해를 받곤 합니다.
가옥에서도 이러한 부분을 감안하여, 비를 효과적으로 흘러내리게 하고 건물이 부식되지 않도록 비천이라는 지붕 구조를 사용하였습니다. 이는 지질학, 지형학에 영향을 미친것으로 볼수 있겠습니다.
이렇듯 한옥은 단순히 집을 짓고 살기 위한 것이 아니라
자연속에서 자연이 재료를 사용하여 자연을 벗삼아 지내려는 선조들의 지혜를 엿볼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지금도 이러한 한옥의 연구는 지속되어 더 나은 삶의 터전을 만들어 줄 필요가 있겠습니다.
이상으로 한옥의 구조와 과학적 요인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다음번에는 더 잡다한 지식으로 돌아오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언젠가쓸모있을잡다한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허리 통증에 좋은 스트레칭은? (0) | 2023.11.18 |
---|---|
허리를 비틀어 소리나게 스트레칭은 과연 좋을까? (0) | 2023.11.17 |
가족친지 결혼식 전 장례식장을 다녀와도 되나? (0) | 2023.11.05 |
미성년자도 신용카드 발급이가능하다?! (0) | 2023.11.05 |
초보캠퍼가 가기 좋은 서울 인근 캠핑장 TOP.5 (0) | 2023.11.01 |